본문 바로가기

운동생리학, 운동역학21

신경세포의 구조와 종류 신경을 해부학적으로 나누면 기능적인 기본 단위는 신경세포, 즉 뉴런(neuron)이다. 전형적인 뉴런은 핵과 세포소기관을 내재하는 세포체, 세포에서 가지모양으로 뻗어 나온 가지돌기라고 하는 몇 개의 신경 섬유, 그리고 축삭이라고 하는 긴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가지돌기(dendrite)라고 하는 부분은 더듬이처럼 생긴 것을 뻗어서 표면적을 넓혀 다른 축삭으로부터 신호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있다. 뉴런의 대부분 세포체 원형질막은 축삭(axon)에서 오는 화학적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단백질로 구성된 수용기를 가지고 있다. 자극은 축삭을 따라 전달되어 축삭이 갈라진 끝부분인 축삭종말에 이른 다음, 화학물질을 내뿜는다. 이때 축삭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축삭질을 말이집(myelin sheath)이라.. 2024. 12. 26.
인간의 신경 계통과 운동 인간의 신경계통은 중심역할인 중추신경계통(CNS, central nervous system)과 신체 부위를 연결하는 말초신경계통(PNS, peripheral nervous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되어있고, 말초신경계통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운동신경은 몸 신경과 자율신경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인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리적인 활동은 신경계통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신경은 몸 안의 모든 부분을 관할하면서 다양한 조직들끼리만 아니라 외부환경과도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있다. 신경계통은 온몸에 그물 같은 모양으로 분포되어 있어 신경섬유가 자극되면 흥분을 효과기나 다른 뉴런으로 전달하여 각 조직과 기관을 통제하거나.. 2024. 12. 25.
훈련에 따른 근육은 어떻게 적응할까? 트레이닝의 종류에 따라 근육의 적응은 조금 달라질 수 있는데, 유산소 트레이닝과 무산소 트레이닝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지구력 훈련과 같은 유산소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는 근육 섬유를 반복적으로 지속 사용함으로써 근육섬유의 구조와 기능에 변화가 생긴다. 유산소 트레이닝에서 가장 중요한 적응 기제는 근육 섬유를 에워싸고 있는 모세혈관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이다. 지구력을 향상할 수 있는 훈련을 오랜 기간에 걸쳐 실시하는 경우에 모세혈관의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드러났다. 모세혈관이 많을수록 운동하는 주요 근육과 혈액 사이에 열이나 영양소의 이동이 활발해지며 노폐물의 방출이 늘어난다. 실제 모세혈관 밀도의 증가, 즉 근육섬유마다 모세혈관이 증가하는 것은 훈련에 대한 반응에서 .. 2024. 12. 25.
인체의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는 인간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유기체의 구조를 이루는 기본 단위이다. 생명 활동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의 가장 최소 단위이기도 하다. 세포는 어느 조직에 속해있느냐에 따라 모양이나 역할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생명의 유지를 위한 일을 하며 보통의 유기체는 7.5조개에서 30조개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인체는 기본단위인 세포에서 조직, 기관, 계통과 같이 점진적인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인체를 구성하는 화학적인 구성요소를 따지면 30종 이상이 되며, 무기물이 약 70% 정도이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 같은 유기물이 31% 정도이다. 인체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세포는 30~50조개이며 이 중에서 약 절반 정도가 혈구로 체중의 절반에 해당한다. 같은 방향으로 분화된 세포는 신경세.. 2024. 12. 24.
운동에서의 항상성의 의미 항상성(homeostasis)은 내부 환경을 안정적이고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특성이다. 'homeo'는 'same'이라는 뜻이며 'stasis'는 'to stand or to stay'를 뜻한다. 우리 몸의 항상성 유지를 예로 들자면, 세포는 간질액에 둘러싸여 있을 때에만 제대로 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인간의 몸은 적절한 상태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생리 현상을 수행한다. 왜냐하면 어떤 조건 하에서 세포가 한계범위를 초과하면 심각한 사태가 유발되기 때문이다. 만약 세포들이 산소와 영양분을 내부에서 얻을 수 없다면 다른 기관의 도움을 받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충을 받는다. 또한 세포 안에서 만들어지는 부산물은 위험 범위에 도달하기 전 반드시 세포사이질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처럼 안정된 내부의 유지 .. 2024. 12. 23.
근육수축의 형태와 근력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운동은 인체의 여러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근육계통은 운동 수행의 핵심 요소이다. 근육은 단순한 운동을 넘어 신체의 균형, 자세, 운동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근육수축의 형태를 분류하고, 근육수축의 종류 및 근력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운동 생리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운동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신경 자극으로 활동 전압이 유발되어 신경 근육 이음부를 자극하면 근육 섬유 내로 흥분이 전이된다. 이렇게 전도 받은 근육 섬유 안에서는 화학반응이 일어나 수축 현상이 나타난다. 근육 수축의 형태에 따라 강축, 긴장, 가중, 연축 등으로 구분한다. 먼저 강축이란 자극이 계속 있는 동안에는 지속하지만, 자극이 그치면 근육이 곧바.. 2024.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