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운동역학21 체액의 pH 평형 조절과 원리 체액의 산-염기 평형 조절이란 체내의 수소 이온을 일관되게 유지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체내 혈액의 정상 pH는 7.4±0.5를 유지해야만 하는데, 일시적으로 심한 변동이 있다고 해도 pH는 늘 7.0~7.8의 범위 안에 있고 본래의 상태로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몸은 특정한 범위 안에서 산과 염기의 평형을 허락하지만 산성이나 알칼리성을 띠게 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체는 생물학적 조절이나 화학적 조절, 즉 혈액의 완충 작용이나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 신장에서의 산과 염기의 조절에 의해 산과 염기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먼저 산과 염기에 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전해질은 수소이온을 결합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데 수소이온을 방출하는 전해질을 산이라고 하고, 수.. 2024. 12. 27. 운동과 훈련이 호흡계에 주는 영향 오랜 기간에 걸친 계획적 훈련이 인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 그중 트레이닝에 따라 인체의 호흡계가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알아보려 한다. 환기당량, 허파 부피, 허파 용량, 허파 환기량, 환기 효율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자. 먼저 허파 환기량은 훈련이나 운동 후의 안정된 상태에서는 큰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약간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최대하 운동 시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기에서 최대하 운동이란 최대보다는 낮은 강도의 운동을 지속해서 수행하는 운동을 이른다. 그러나 최대 운동을 할 때는 최대 환기량은 상당한 부분 증가하는데 비 훈련자는 트레이닝 전 허파 환기량이 분당 120L였던 것이 트레이닝 후에는 분당 약 150L까지 증가하는 것이 평균적이다. 트레이닝 후의 최대 환기량 증.. 2024. 12. 27. 호흡에서의 가스 교환과 가스 운반 조직세포와 모세혈관 사이, 그리고 허파꽈리에서 모세혈관 사이에서의 가스 교환은 ‘확산’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확산은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확산은 또한 분압의 차이에 의하는데, 분압이란 대기 또는 혈관과 같은 액체 안에 들어있는 혼합 가스 또는 허파꽈리에 들어가 있는 혼합가스 중 각 단일 단위가 가지고 있는 압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분압이 높으면 가스 분자는 분압이 낮을 때에 비해 높은 운동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확산된다. 허파는 이산화탄소와 산소가 서로 교환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교환은 확산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허파 안의 모세혈관과 허파꽈리는 이러한 교환을 하는 지점으로 모세혈관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고.. 2024. 12. 27. 호흡계통과 운동 호흡계통은 허파와 숨이 들어가고 나오는 길을 말하며 기능적으로는 호흡 영역(respiratory zone)과 전도 영역(conducting zone)으로 구분된다. 전도 영역은 종말세기관지에서 위 숨길까지를 이르는데, 이 부분은 공기가 오가는 통로 역할만 한다. 이 영역에서는 가스교환은 일어나지 않아 해부학적으로는 사강(dead space)을 형성하고, 기관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데, 종말세기관지에서 더 세분되는 가지에는 꽈리 주머니가 관찰되며 허파꽈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세혈관 그물을 통하여 가스교환이 일어난다. 호흡은 가스교환 과정에 의하여 혈액 속에 있는 이산화탄소가 없어지고 혈액이 첨가되는 것을 말한다. 환기(ventilation)는 실질적인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허파의 끝부분까지 공기가 이동하.. 2024. 12. 27. 인체의 중추신경계통과 운동 대뇌겉질과 소뇌는 경험해 보지 못한 운동 기술을 습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뇌의 주 운동겉질(primary motor cortex)은 운동을 의도적으로 조절한다. 대뇌겉질에서 시작하여 자발적인 운동을 담당하는 하행성 흥분전도(descending excitatory conduction)로는 피라밋로(pyramidal tract)와 피라밋바깥로(extrapyramidal tract)이 있다. 대뇌겉질에서 시작하는 원심로 중에서는 중간에 시냅스가 없어도 직접 척수의 운동뉴런에 이어지는 길을 피라밋로라고 하고 나머지를 통틀어 피라밋바깥로라고 이른다. 피라밋로(pyramidal tract) 또는 겉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는 운동겉질에서 자극을 척수의 앞뿌리(ventral root)로.. 2024. 12. 26. 근육과 관절의 고유수용기와 운동 인체는 고유수용기(proprioceptor)의 작용 덕분에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운동이 가능한데, 고유수용기란 우리 몸 안의 관절과 근육에 있는 독특한 감각기관이다. 고유수용기는 힘줄이나 근육 관절 등 여러 곳에서 받아들인 감각을 정보로 바꾸어 중추신경계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고유수용기를 통하여 들어오는 여러 가지 정보들은 중추신경계의 의식적인 부위와 무의식적인 부위 모두 전달되며 이때 위치나 상태의 인지능력은 운동감각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중추신경계통에서 팔과 다리의 위치나 동작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 고유수용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먼저 관절수용기는 관절막, 힘줄, 인대나 근육에 있다. 이들은 관절의 속도나 각도, 압력에 의해 관절이 변형된 형태 등의 정보를 중추신경계통에 보낸다. 이들이 .. 2024. 12. 26. 이전 1 2 3 4 다음